TEXTURE SERIES

[커스터마이즈드 석고 몰드 (Customized Plaster Mold) 제작 방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016


⋅ ⋅ ⋅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산업 도자 영역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석고 몰드 개발에 집중하였다. 석고 몰드를 응용하여 기물의 형태와 질감을 바꿈으로써 기물에 시각적⋅구조적 변화를 주는 '커스터마이즈드 몰드(Customized Mold)'를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질감을 도자기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재료와 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커스터마이즈드 몰드는 '텍스쳐드 몰드(textured mold)'와 '트랜스포머블 몰드(transformable mold)'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연구자는 한 가지 형태의 기물 표면에 여러 가지 시각적 질감의 변화를 주어 소비자의 개성을 반영할 수 있는 텍스쳐드 몰드를 개발하였고 더 나아가 기물 표면의 시각적 질감 뿐만 아니라 기물의 형태를 변형시켜 제품을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블 몰드를 개발하였다. 커스터마이즈드 몰드는 기물의 형태와 표면 질감 변형을 용이하게 만들어 소비자의 의도에 맞춘 산업 도자에서의 커스터마이제이션이 가능케 한다. 


 연구자는 앞서 개발한 커스터마이즈드 몰드를 활용해 산업 도자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시도한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 ⋅ ⋅ 연구자는 수공예 공방에서 생산하는 제품뿐만 아니라 산업 도자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몰드 개발에 본 논문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몰드를 제작하는 '기술'을 넘어 몰드의 '활용 방식' 개발에도 초점을 두었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3D프린터나 CNC 기계를 이용한 정교한 몰드 제작이 보편화 될 시대를 대비한 석고 몰드 개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커스터마이즈드 몰드를 제작하고 이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제품을 커스터마이즈하는 방식을 연구한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작품들은 샘플의 개념이며, 기계 공정 체제로 가기 위한 일차적 제시물이다. 즉, 작품을 3D프린팅 하는 것이 아닌, 몰드를 3D 프린팅하기 위한 첫 번쨰 공정 단계인 것이다. 


 과학 기술의 개발로 다양한 기계와 기술이 출시되고 있는 이 시대에, 연구자는 디자이너 겸 공예가로서 앞으로 개발 될 신기술을 활용해 더 좋은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본 논문이 이러한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논문 개요 중


floating-button-img